지원금 총정리

청년도약계좌 핵심 정보

2025년 청년도약계좌(청년 도약계좌)

5년 자유적립 · 정부기여금 · 이자 비과세로 목돈 마련

지원대상(가입 요건)

연령·개인소득·가구소득·금융소득 요건 충족 시 가입

① 연령

계좌 개설일 기준 만 19~34세 (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 차감 가능)

② 개인소득

직전 과세기간 총급여 7,500만원 이하 · 종합소득금액 6,300만원 이하

③ 가구소득

가구원 수별 기준 중위소득 250% 이하 (등본상 배우자·부모·자녀 등 포함)

④ 금융소득종합과세 이력

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년도 내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 이력 없음

유의

현재 청년희망적금 유지 중인 경우 중복 가입 불가 / 1인 1계좌

신청방법(월별 비대면 신청 → 심사 → 계좌개설)

Step 1. 은행 앱에서 신청

국민·기업·농협·신한·우리·하나·경남·광주·대구·부산·전북은행 에서 매월 비대면 신청

Step 2. 가구원 동의·소득 확인

서민금융진흥원이 행정정보로 연령·개인·가구소득 확인(가구원은 동의 필요, 미성년 가구원 동의 제외)

Step 3. 심사 → 개설

심사 약 2주 → 익월 초 취급은행 앱에서 계좌개설 안내

Tip

가입 후 매년 유지심사로 개인소득 재확인 · 정부기여금 비율 조정 / 부분인출 1회 가능

신청 절차 자세히 보기

지원내용(납입·정부기여금·세제·해지)

납입 구조

만기 5년(60개월) · 매월 1천원~70만원 자유적립 (중도 무납입 가능, 계좌 유지)

정부기여금(’25.1월분부터)

소득구간·월 납입액에 따라 월 최대 33,000원 지원(기존 최대 24,000원 → 확대)

금리·비과세

금리는 은행 자율(통상 3년 고정+2년 변동), 납입액·정부기여금에 대한 이자소득세 비과세

부분인출/특별중도해지

부분인출 1회 가능 / 사망·해외이주·퇴직·폐업·장기입원·생애최초 주택구입·혼인·출산 등 특별중도해지 시 비과세·기여금 유지

정부기여금 확대 보도자료

청년도약계좌 한눈에

청년도약계좌는 만 19~34세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돕는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. 5년간 매달 자유롭게 납입하면 소득구간에 따라 정부가 기여금을 매칭하고, 적립 원리금의 이자소득에 비과세 혜택을 제공합니다. 은행별 금리·우대조건이 다르므로 가입 전 비교가 필수입니다.

필수 체크

연령·개인·가구소득 기준 / 월 납입한도(≤70만원) / 정부기여금 최대 3.3만원 / 매년 유지심사

문의

서민금융콜센터 1397 (안내 후 은행 연결)